1. 내가 하고 싶어서 하는 공부.
1. 틀린 부분 언제든 환영.
1. 전공자 아님. .
1. 내 알아서 이해하고 공부할 것임.
1. 혹 누군가 이 블로그를 보더라도 참고만 할 것.
< 정답 > |
① ㄱ-ㄷ-ㅁ-ㄹ-ㄴ |
< 풀이 과정 >
순서 문제는 의외로 쉬웠다.
하나만 보면 된다.
일단 선택지를 본다.
①②는 'ㄱ'으로 시작하고
③④는 'ㄹ'로 시작한다.
①②가 맞으면 ③④는 틀리는 거다.
반대도 마찬가지다.
일단
'ㄱ'과 'ㄹ'을 먼저 읽는다.
'ㄱ'은 전체 상황 제시라면
'ㄹ'은 어떤 결과에 대한 원인을 이야기하는 듯 하다.
그러니까 내가 알지 못한 '어떤' 내용은 나오지 않았지만, 그 원인을 이야기하고 있으니, 뭔가 빠진 기분이다.
그래서 자연스레 'ㄱ'을 선택한다.
그럼 ③④에는 빗금 표시를 해서 지워 버린다.
'ㄱ' 다음엔
'ㄷ'과 'ㄹ'을 읽어 본다. 왜냐?
그게 ①②의 두 번째 부분이니까.
'ㄷ'과 'ㄹ' 중 가장 'ㄱ'과 어울리는 걸 찾는다.
'ㄷ'은 소득이 올라간 배경에 대해 전체적으로 설명한다면
'ㄹ'은 뜬금없이 '남북전쟁'이 나오고, 아주 구체화된 원인이 나온다.
그래서 순서 상 'ㄷ'이 더 자연스러워서
답을 ①로 체크한다.
< 풀이 이론 >
한두 문장으로 된 순서 문제를 풀 때는 위와 같은 팁을
이용하거나,
가벼운 지식 정도는 알고 있어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.
문장이 나열 돼 있을 때
아무 의미 없이 나열 돼 있는 것이 아니라,
작자는 주제를 가장 잘 드러낼 수 있는 방식을 선택한다.
1. 원인과 결과
결과를 먼저 보여주고, 원인을 보여 주는 등 순서는 바꿀 수 있다.
2. 중심 내용과 세부 내용(핵심과 상술)
위 문제에서 봤든 중심 내용과 세부 내용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.
순서는 마찬가지로 바뀔 수 있다.
선택은 작자 마음이니까.
중심 내용은 핵심!!
세부 내용은 '상술한다'로도 표현할 수 있다.
3. 나열
예시나, 같은 관련 일화 등을 나열 할 수 있다.
4. 비교/대조
두 가지 대상의 비슷한 점을 말하면 비교
두 가지 대상의 다른 점을 말하면 대조
5. 문제와 해결
문제가 있으면 해결 방법이 짝으로 나올 때도 있다.
'원인과 결과'와 헷갈릴 수 있지만,
이런 형식이 있다는 걸 알아두면,
실제 지문 읽을 때 도움이 된다.
마찬가지로 순서는 해결이 먼저 제시될 수도 있다.
이, 그, 저
표지에 대한 이론이 빠졌다.
언제 정리해서 올려야겠다.
이 문제를 금방 풀었다.
하지만. 늘 쉽게 풀진 못한다.
순서 찾는 문제는 어떨 땐 아주 명확하게 보이는데,
아닐 때도 많기 때문이다.
나만의 방법을 찾아야겠다.
'공무원-9급 > 9급-국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국어) 6번, 주장하는 글, 중심 문장 찾기, 주장 찾기, 환경 개변에 능동적, 2020년 지방직 6번 (0) | 2020.06.19 |
---|---|
국어) 19번, 추론하며 읽기, 추론적 읽기, 확증 편향, confirmation bias, 2020년 지방직 19번 (0) | 2020.06.18 |
국어) 12번, 이첨의 저생전, 가전문학, 가전체, 사물의 의인화, 2020년 지방직 12번 (0) | 2020.06.16 |
국어) 5번, 함민복, 「그 샘」, 구어체와 문어체 구별, 2020년 지방직 국어 5번 (0) | 2020.06.15 |
국어) 2번, 표현의 효과, 정중 어법, 공손성의 원리, 2020년 지방직 2번(김대리,이부장 대화) (0) | 2020.06.1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