공무원-9급/9급-국어

국어) 18번, 글의 전개 순서 문제, 글의 전개, 글의 구조, 2020년 지방직 18번

star2let 2020. 6. 17. 00:19
728x90

1. 내가 하고 싶어서 하는 공부.
1. 틀린 부분 언제든 환영.
1. 전공자 아님. .
1. 내 알아서 이해하고 공부할 것임.
1. 혹 누군가 이 블로그를 보더라도 참고만 할 것.


 

 

2020년 지방직 국어 B형 18번

 

 


< 정답 >
① ㄱ-ㄷ-ㅁ-ㄹ-ㄴ

 


< 풀이 과정 >

 

순서 문제는 의외로 쉬웠다.

 


하나만 보면 된다.

일단 선택지를 본다.


①②는 'ㄱ'으로 시작하고
③④는 'ㄹ'로 시작한다.

①②가 맞으면 ③④는 틀리는 거다.

반대도 마찬가지다.

 

 

일단
'ㄱ'과 'ㄹ'을 먼저 읽는다.

'ㄱ'은 전체 상황 제시라면
'ㄹ'은 어떤 결과에 대한 원인을 이야기하는 듯 하다.


그러니까 내가 알지 못한 '어떤' 내용은 나오지 않았지만, 그 원인을 이야기하고 있으니, 뭔가 빠진 기분이다.

 

그래서 자연스레 'ㄱ'을 선택한다.
그럼 ③④에는 빗금 표시를 해서 지워 버린다.

 

 

'ㄱ' 다음엔
'ㄷ'과 'ㄹ'을 읽어 본다. 왜냐?


그게 ①②의 두 번째 부분이니까.


'ㄷ'과 'ㄹ' 중 가장 'ㄱ'과 어울리는 걸 찾는다.

'ㄷ'은 소득이 올라간 배경에 대해 전체적으로 설명한다면
'ㄹ'은 뜬금없이 '남북전쟁'이 나오고, 아주 구체화된 원인이 나온다.

 

 

그래서 순서 상 'ㄷ'이 더 자연스러워서
답을 ①로 체크한다.

 


< 풀이 이론 >

 

한두 문장으로 된 순서 문제를 풀 때는 위와 같은 팁을
이용하거나,
가벼운 지식 정도는 알고 있어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.

 

 

문장이 나열 돼 있을 때
아무 의미 없이 나열 돼 있는 것이 아니라,
작자는 주제를 가장 잘 드러낼 수 있는 방식을 선택한다.

 

 

1. 원인과 결과
결과를 먼저 보여주고, 원인을 보여 주는 등 순서는 바꿀 수 있다.

 

 

2. 중심 내용과 세부 내용(핵심과 상술)
위 문제에서 봤든 중심 내용과 세부 내용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.
순서는 마찬가지로 바뀔 수 있다.
선택은 작자 마음이니까.

중심 내용은 핵심!!
세부 내용은 '상술한다'로도 표현할 수 있다.

 

 

3. 나열
예시나, 같은 관련 일화 등을 나열 할 수 있다.

 

 

4. 비교/대조
두 가지 대상의 비슷한 점을 말하면 비교
두 가지 대상의 다른 점을 말하면 대조

 

 

5. 문제와 해결
문제가 있으면 해결 방법이 짝으로 나올 때도 있다.
'원인과 결과'와 헷갈릴 수 있지만,
이런 형식이 있다는 걸 알아두면,
실제 지문 읽을 때 도움이 된다.


마찬가지로 순서는 해결이 먼저 제시될 수도 있다.

 

 

이, 그, 저

표지에 대한 이론이 빠졌다.

언제 정리해서 올려야겠다.


이 문제를 금방 풀었다.
하지만. 늘 쉽게 풀진 못한다.
순서 찾는 문제는 어떨 땐 아주 명확하게 보이는데,
아닐 때도 많기 때문이다.

 

 

나만의 방법을 찾아야겠다.

 

 

728x90